안녕하세요, ExoBrain입니다. 전글에 이은 2탄글입니다.
"사람은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할까요? 2탄"이라는 주제를 다룹니다. 지난 글에서 기본 섭취량과 최소/최대 기준을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연령대별 식단, 특정 질환에 따른 조절, 계절별 식이 변화까지 폭넓게 살펴보며 개인별 최적의 식단을 알아봅니다.
목차
1. 유아기와 아동기의 식단
유아기(1~5세)와 아동기(6~12세)는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와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합니다.
1. 필요 칼로리
유아기는 약 1,000~1,400kcal, 아동기는 1,600~2,200kcal가 필요합니다. 활동량에 따라 상한선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시기 칼로리의 50~60%를 탄수화물, 10~15%를 단백질로 권장합니다.
2. 추천 식품
우유, 달걀, 고기 등 단백질과 칼슘 공급원이 중요합니다. 채소와 과일로 비타민과 섬유질을 보충해야 합니다.
간식은 과자 대신 견과류나 요거트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청소년기의 식단
청소년기(13~18세)는 급격한 신체 성장과 호르몬 변화로 인해 섭취량이 크게 늘어납니다.
1. 필요 칼로리
남성은 2,400~3,000kcal, 여성은 2,000~2,400kcal가 기준입니다. 스포츠 활동이 많으면 3,500kcal까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체중 1kg당 1.2~1.5g 섭취가 권장됩니다.
2. 주의할 점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 섭취가 늘어나기 쉬운데, 이는 비만과 영양 불균형을 유발합니다. 철분과 칼슘 보충에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여성은 생리 시작으로 철분 결핍 위험이 높아집니다.

3. 성인기의 식단
성인기(19~64세)는 활동량과 건강 상태에 따라 섭취량이 달라집니다.
1. 필요 칼로리
남성은 2,200~2,800kcal, 여성은 1,800~2,200kcal가 평균입니다. 사무직은 하한선, 육체노동자는 상한선에 가깝습니다.
대한영양사협회는 지방을 전체 칼로리의 20~25%로 제한할 것을 권장합니다.
2. 추천 식단
잡곡밥, 생선, 두부 등 균형 잡힌 식단이 적합합니다. 가공식품과 술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과식도 주의해야 합니다.

4. 노년기의 식단
노년기(65세 이상)는 기초대사량이 줄어들며 소화력이 약해집니다.
1. 필요 칼로리
남성은 1,800~2,200kcal, 여성은 1,600~1,900kcal가 기준입니다. 활동량이 적으면 1,500kcal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 체중 1kg당 1.0~1.2g 필요합니다.
2. 추천 식품
연한 음식(죽, 스프)과 칼슘(멸치, 유제품)이 적합합니다. 섬유질 섭취로 변비를 예방하세요.
치아 건강을 고려해 단단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약 복용 중이라면 음식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5. 당뇨병과 섭취량 조절
당뇨병 환자는 혈당 관리를 위해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조절해야 합니다.
1. 칼로리와 영양소
칼로리는 일반 성인과 비슷하지만, 탄수화물은 하루 칼로리의 50~60%로 제한합니다. 정제 탄수화물(흰쌀, 빵)은 피하세요.
섬유질이 풍부한 통곡물과 채소가 권장됩니다.
2. 식사 타이밍
하루 3~4회 소량씩 나눠 먹으면 혈당 급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간식은 과일 소량으로 대체하세요.
미국당뇨병학회(ADA)는 식후 2시간 혈당을 180mg/dL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권장합니다.

6. 고혈압과 섭취량 조절
고혈압 환자는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을 늘려야 합니다.
1. 나트륨 제한
하루 나트륨은 2,300mg(소금 6g) 이하, 이상적으로는 1,500mg 이하로 제한합니다. 가공식품과 국물 요리를 줄이세요.
대한고혈압학회는 저염 식단이 혈압을 5~10mmHg 낮춘다고 밝혔습니다.
2. 추천 식품
바나나, 시금치, 고구마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이 적합합니다. 지방은 포화지방 대신 불포화지방(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세요.
DASH 식이법(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을 참고하면 효과적입니다.

7. 계절별 식이 변화
계절에 따라 신체 필요와 식욕이 달라지므로 식단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여름 식단
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므로 수분과 전해질(나트륨, 칼륨)이 필요합니다. 수박, 오이, 냉국이 적합합니다.
칼로리는 10~15% 줄여도 괜찮습니다.
2. 겨울 식단
체온 유지를 위해 칼로리가 10~20% 늘어납니다. 따뜻한 국물(미역국, 된장국)과 단백질(고기, 생선)이 좋습니다.
비타민 D 부족을 막기 위해 햇볕 쬐기와 버섯 섭취를 늘리세요.

8. 섭취량 조절 FAQ
Q1. 아이가 편식을 해도 괜찮습니까?
A1.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으니 다양한 음식을 조금씩 시도하게 하세요.
Q2. 청소년이 다이어트를 해도 됩니까?
A2. 성장에 지장이 없도록 칼로리 감량은 10%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당뇨병 환자는 과일을 먹으면 안 됩니까?
A3. 소량(100g 내외)으로 혈당지수(GI)가 낮은 과일(사과, 배)은 괜찮습니다.
Q4. 겨울에 살이 찌는 이유가 뭡니까?
A4. 활동량 감소와 체온 유지로 칼로리 소모가 줄어 지방이 축적되기 쉽습니다.
Q5. 노년기에 식욕이 없으면 어떻게 합니까?
A5. 소량씩 자주 먹고, 맛을 내는 양념을 활용해 식욕을 돋우세요.
@ExoBrain
'Health_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 운동 시 이럴 때에는 쉬어야 한다 (0) | 2025.04.02 |
---|---|
걷기와 뛰기 운동이 발목과 무릎 근육 발달에 미치는 영향 (1) | 2025.04.01 |
사람은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할까요? (0) | 2025.03.31 |
우리 몸의 관절염 증세. 무엇을 해야할까요 (2) | 2025.03.31 |
만성 염증이 암, 치매 유발한다고? (4)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