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상호관세! 무엇인지 아십니까?

exobrain 2025. 4. 4. 09:34
안녕하세요~ 뉴스를 접하다 보면 이 상호관세라는 말이 도베를 하다싶이 하는데 정작 무엇이다 라고 딱히 말해 주는데가 별로 없어서  이번 글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상호관세’에 대해 깊이 알아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호관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1. 상호관세란 무엇인가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상대국이 자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설정하는 정책입니다. 이는 ‘공정한 무역’을 목표로,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거나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의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국이 B국의 수출품에 20% 관세를 부과하면, B국도 A국의 수출품에 20% 관세를 부과하는 식입니다.

 

1. 상호관세의 기본 개념

상호관세는 단순히 관세율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습니다. 비관세 장벽(Non-Tariff Barriers), 즉 규제, 보조금, 환율 조작 등도 고려 대상이 됩니다. 이는 무역에서 발생하는 불공정 요소를 포괄적으로 반영하려는 시도입니다.

 

2. 역사적 배경

상호관세는 과거 미국에서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 시기에도 등장한 개념입니다. 당시에는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하며 대공황을 악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현재 트럼프가 이를 부활시킨 것은 과거와는 다른 맥락이지만, 비슷한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2.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배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재집권 이후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며 상호관세를 핵심 정책으로 내세웠습니다. 이는 그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와 맞닿아 있습니다.

 

1. 무역 적자 해소

트럼프는 미국의 대규모 무역 적자를 주요 문제로 지적합니다. 2024년 기준 미국의 무역 적자는 약 1조 달러에 달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과의 무역에서 큰 흑자를 내는 국가들이 타겟이 됩니다.

 

2. 재정 확보

트럼프는 법인세 감면 등 대규모 감세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이에 따른 재정 부족을 관세 수입으로 메우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2025년 GDP 대비 부채 비율이 100%를 넘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3. 정치적 메시지

상호관세는 트럼프의 지지층인 제조업 종사자와 중산층에게 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는 이를 통해 미국 경제를 부흥시키겠다는 약속을 강조합니다.

3. 상호관세의 주요 내용과 시행 일정

2025년 4월 2일, 트럼프는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관세

모든 교역국에 10%의 기본 관세가 4월 5일부터 적용됩니다. 이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부과되는 최소 관세입니다.

 

2. 국가별 상호관세

무역 적자가 큰 국가에는 추가 관세가 부과됩니다. 한국 25%, 중국 34%, 일본 24%, EU 20% 등이 대표적이며, 4월 9일부터 시행됩니다.

 

3. 품목별 관세

자동차(25%), 철강·알루미늄(25%) 등 특정 품목에도 별도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는 상호관세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Country Tariffs Charged to the U.S.A U.S.A. Discounted Reciprocal Tariffs
China 67 34
European Union 39 20
Vietnam 90 46
Taiwan 64 32
Japan 46 24
India 52 26
South Korea 50 25
Thailand 72 36
Switzerland 61 31
Indonesia 64 32
Malaysia 47 24
Cambodia 97 49
United Kingdom 10 10
South Africa 60 30
Brazil 10 10
Bangladesh 74 37
Singapore 10 10
Israel 33 17
Philippines 34 17
Chile 10 10
Australia 10 10
Pakistan 58 29
Turkey 10 10
Sri Lanka 88 44
Colombia 10 10
Peru 10 10
Nicaragua 36 18
Norway 30 15
Costa Rica 17 10
Jordan 40 20
Dominican Republic 10 10
United Arab Emirates 10 10
New Zealand 20 10
Argentina 10 10
Ecuador 12 10
Guatemala 10 10
Honduras 10 10
Madagascar 93 47
Myanmar (Burma) 88 44
Tunisia 55 28
Kazakhstan 54 27
Serbia 74 37
Egypt 10 10
Saudi Arabia 10 10
El Salvador 10 10
C척te d'Ivoire 41 21
Laos 95 48
Botswana 74 37
Trinidad and Tobago 12 10
Morocco 10 10

수치는 모두 % 입니다.

4.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 미국의 8번째 무역 적자국으로, 상호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1. 수출 감소

한국무역협회는 상호관세로 인해 총수출이 약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4년 대미 수출액은 약 1,200억 달러로,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2. 물가 상승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산 소고기, 농산물 등이 영향을 받습니다.

3. 한미 FTA와의 충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관세가 거의 없었으나, 상호관세는 이를 사실상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5. 주요 산업별 영향 분석

상호관세는 한국의 주요 산업에 다각도로 영향을 미칩니다.

1. 자동차 산업

현대차, 기아 등은 대미 수출의 30% 이상을 차지합니다. 25% 관세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미국 내 생산 확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반도체 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관세 부과 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 규제로 반사이익도 가능합니다.

3. 철강 및 조선

포스코 등 철강업체는 25% 관세로 타격을 받으나, 조선업은 LNG 수요 증가로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정부와 기업의 대응 방안

상호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은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1. 수출 다변화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 유럽 시장을 공략해야 합니다.

2. 현지 생산 확대

미국 내 공장 설립을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통상 협상

비관세 장벽 해소와 FTA 재협상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참고: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3월 대미 통상 전략 보고서를 발표하며 협상 준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상호관세와 글로벌 무역 질서

상호관세는 세계 무역에 큰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1. 보복 관세 확산

EU, 중국 등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글로벌 통상 전쟁이 심화됩니다.

2. WTO 약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무시한 일방적 관세로 다자무역 체제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3. 경제 불확실성

골드만삭스는 상호관세로 미국 경제 침체 확률이 35%로 상승했다고 분석합니다.

 

8. FAQ

Q1. 상호관세는 언제부터 시행되나요?

A1. 기본 관세 10%는 2025년 4월 5일, 국가별 상호관세는 4월 9일부터 시행됩니다.

Q2.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얼마인가요?

A2. 한국은 25%의 상호관세가 적용됩니다.

Q3. 상호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A3.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Q4. 자동차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4. 25% 관세로 수출 비용이 증가하며, 현지 생산 확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5.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A5. 수출 다변화, 통상 협상, 현지 투자 확대 등을 추진 중입니다.

 

@ExoB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