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9

Midjourney in Discord (미드저니)

AI를 관심있게 아는 분들은 이미지 생성형 AI라는 것은 아실겁니다.사용해 보신분들도 계실것이고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 Midjourney는 AI 기반의 이미지 생성 도구로, 사용자가 텍스트 프롬프트를 제공하면 이를 기반으로 고유하고 창의적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 도구는 특히 예술가, 디자이너, 창작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저 역시 Midjourney를 만나고 시간 가는줄 모르게 이것저것 생성 시켜 봤고 결과물을 이용해 많은 디자인물에 응용해 도움을 톡톡히 봤습니다.작동 방식: Midjourney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설명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사용자는 특정 주제, 개념, 스타일 등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AI는 이를 분석하여 관련 이미지를 ..

AI 2024.01.27

Google : 슈퍼리얼 동영상 생성 AI인 'Lumiere'

생성형 AI의 발전은 시초를 다투며 발전하며 각 업체들마다 조금 더 앞선 기술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픈소스는 대단한 기회의 착상입니다. 큰회사인 구글이 일찌감치 이런 분야에 연구와 발표를 했었습니다. 구글이 발표하면 현재 상황에서 조금 더 진보한 결과물들을 보여주곤 했지요~ 올해 2024년에도 번뜩이는 발표를 했습니다. 뤼미에르입니다. 아직 프로그램 공개를 하진 않았지만 구글은 2024년 1월 21일, 슈퍼리얼 동영상 생성 AI인 'Lumiere'를 발표했습니다. 텍스트나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입력으로부터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Lumiere는 싱글 패스를 통해서 동영상 전체를 한 번에 생성하는 'Space-Time U-Net'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동영상 생성 A..

AI 2024.01.27

S3D CNN을 활용한 제작 프로그램들

S3D CNN(Separable 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한 여러 제작 프로그램이 있습니다만, 아래에 몇 가지 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3DResNet3DResNet은 3D CNN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주로 동영상 분류에 사용됩니다. 3DResNet은 2D CNN의 ResNet을 3D로 확장한 것으로, 동영상의 시간 정보와 공간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2D 이미지를 다루는 일반적인 ResNet에서 차원을 하나 추가하여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3DResNet는 비디오의 시간적인 흐름을 포착하고 이를 분류 문제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ResNet이 가지고 있는 잔차 연결(Residual Conn..

3D 2024.01.26

AI 기반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들

현재 여러 온라인 사이트에서 다양한 AI 기반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이트와 해당 프로그램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Artguru AI: 텍스트 입력을 사용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Artguru AI). Simplified: AI 기반의 콘텐츠 생성 도구로, 이미지 생성 뿐만 아니라 카피라이팅과 소셜 미디어 관리 기능도 포함합니다(Simplified). Starryai: 텍스트 기반의 예술 작품을 생성하며, 사용자는 하루에 최대 다섯 개의 이미지를 무료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Starryai). Hotpot.ai: 이미지 생성, 오브젝트 제거 및 개인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AI 도구입니다(Hotpot.ai). Synthesia: 텍스트 입력..

AI 2024.01.26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

우리가 쇼핑몰을 준비하면서, 또는 시작 했음에도 전체 온라인 흐름을 잘 파악하지 못했다면 책을 속독하듯이 알고 지나면 좋을 상식들을 적어봅니다. AI와 관계 없이 쇼핑몰을 잘 하시겠지만 좀 더 좋은 머리를 빌려 발전하는 인터넷 쇼핑몰이 되면 더욱 좋은거지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것은 다양한 방면에서 도움이 됩니다. AI는 고객 경험 개선, 판매 증대, 운영 효율성 향상 등 여러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AI가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이 글은 매출 데이타가 어느정도 쌓여가고 있다면 더 효율적인 운영을 하기위한 도움이 되기도 할겁니다. 개인화된 추천: AI는 고객의 구매 이력, 검색 행동, 선호도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제품 추천을 제공합니다. 이는 ..

AI + E-Commerce 2024.01.26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3D안경

3D 영화를 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3D 안경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적청 안경(Anaglyph Glasses): 이러한 안경은 한쪽 렌즈가 빨간색이고 다른 쪽은 청색이거나 녹색입니다. 이것들은 전통적인 3D 효과를 위해 사용됩니다.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현대의 3D 영화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안경들은 빛의 특정 평면을 차단하여 3D 효과를 만듭니다.능동 셔터 안경(Active Shutter Glasses): 이들은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각 눈에 다른 이미지를 번갈아 보여줍니다. 이 방식은 주로 고급 홈 시어터 시스템이나 일부 3D TV에서 사용됩니다.VR 헤드셋: 일부 VR 헤드셋은 3D 영화를 감상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 눈에 독립적인 ..

3D 2024.01.25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하는 포토샵 사용방법 2

2D to 3D image (Anaglyph) 이전 게시물에서 SBS (Side By Side) 방식을 올리다 보니 다른 방식도 올려볼까 합니다.역시 2D인 이미지를 3D로 변환하는 것인데 먼저 썼듯이 2.5D정도입니다.완벽한 3D는 제대로 된 3D(양안렌즈)카메라로 찍거나 CG를 이용한 영상이 제대로 된 3D 입체영상을 구현합니다. [Side By Side]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하는 포토샵 사용방법 (이전 게시물 바로가기_새창) 지금 이 적청방식은 3D 모니터가 따로 필요없고 일반 모니터나 종이에 인쇄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입체효과입니다.기초적인 예전방식을 만들어 보면서 새로운 AI가 응용된 최근의 방식을 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결과물입니다. 적청방식(Anaglyph)의 입체 사진입니다...

3D 2024.01.24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하는 포토샵 사용방법

2D to 3D image (SBS image) 사실3D라고는 하지만 정작 3D 작품들을 보면 이것은 2.5D 라 할만합니다.2D 한장의 이미지를 강제로 눈의 착시를 통해 입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게 영화까지 컨버팅을 해서 출시를 하곤 했습니다. 기억속에 그때를 떠올리며 아주 기본적인 방법만을 사용하여 작성을 다시금 해봅니다.물론 지금은 AI를 통한 방식이 대세이고 그 당시라도 여타 툴들을 사용했고 After Effect로도 가능했던 부분입니다.포토샵 하나만으로 완성되는 모습을 다시한번 재현해 봅니다.  이 하나의 뎁스맵을 위하여 PC와 씨름을 했었습니다.한장의 원본과 함께 포토샵 최신버젼으로 작업해 봅니다.  불러온 원본과 photoshop2024입니다. 그 당시에는 저렇게 객체 하나하나를 올가미..

3D 2024.01.23

S3D 이미지 생성 방법과 프로그램들

스테레오스코픽 3D (S3D) 이미지를 생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좌우방식을 주로 사용했지만 다른 방식으로도 작업하는 곳들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좌우 방식 (Side by Side): 두 개의 별도 이미지를 가로로 나란히 배치하여 3D 효과를 구현하는 방식입니다.위아래 방식 (Over-Under): 두 개의 이미지를 세로로 나란히 배치하는 방식입니다.적청 방식 (Anaglyph): 적색과 청색 필터를 사용하여 두 이미지를 중첩시켜 3D 효과를 만드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편광 방식 (Polarized):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셔터 방식 (Shutter Glasses): 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빠르게 번갈아 나타나는 두 이미지를 각 눈에..

3D 2024.01.22

스테레오스코픽 3D 이미징 기술

Stereoscopic 3D imaging technology  이 S3D 라는 분야에 대하여 필자는 오래전부터 연구와 실행을 해 봤습니다.지금부터 약 15년전의 그 환경에서는 앞서가는 작업이었다고 생각됩니다. AI라는 용어를 일부인들에게만 연구 목적 대화에 등장하던 그때 온갖 프로그램들을 섭렵해 보고 어느 Tool이 가장 목적에 도달하기 쉬운가 하며 사용을 했습니다.경험했던 일들을 하나하나 나열 할 수는 없지만 기억을 되살려 기록으로 남겨봅니다.  일단 이 분야에서 사용하던 기본적인 용어들이 있습니다. 지금도 그 분야 작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용어들입니다.잠시 조금만 알아봅니다. 스테레오스코피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징): 두 개의 조금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입체감을 생성하..

3D 2024.01.22